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인지행동주의 특징 (파블로프, 엘리스)

 

 

인지행동주의에는 파블로프의 행동주의와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주의로 구성 되어 있다. 

파블로프의 행동주의 

파블로프의 개 스키너 상자

행동수정은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반두라의 사회학습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시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의 주요 원칙은 강화, 벌, 소멸이다. 

 

1) 행동수정 (behavior modification) 

인간행동의 원리, 원칙에 입각하여 그 행동을 개선하는데 가치가 있으며, 심한 학습장애 아동부터 매우 우수한 아동에까지 다양하게 적용된다. 행동수정인 인간행동을 분석하고 수정하는 심리학의 응용분야로 넓은 의미로는 행동의 변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분야도 교육학, 사회학, 상담학, 의학, 재활 등에서 행동수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2) 토큰강화 (token reinforcement) 

임의로 방출된 반응에 대하여 보상을 제시해 줌으로써 그 반응이 강화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행동수동 절차에서 기대만큼의 행동이 일어났을 때 적절하게 보상을 해 줌으로써 기대행동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이고 바람직한 행동으로 수정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것을 일컬어 토큰강화라고 한다. 

 

3) 강화의 원리 

강화는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의해서 결정된다. 

강화는 자동적으로 행동에 영향을 주며, 학습자를 기쁘게 해주는 즉흥적인 효과성이 있다. 

강화는 학습자를 위한 해동규준과 명백히 연결되어야 하며, 학습자 스스로가 원하는 물품을 얻기 위하여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강화는 일관성 있게 지속되어야 하며, 당초의 목표에 도달했을 경우에 강화를 실시한다. 

강화는 수정된 행동이 나타난 직후에 즉시 이루어져야 한다. 

강화는 학습결과의 각 단계마다 적용되며, 행동수정이 바람직하게 형성되기까지 각 단계에서 학습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적절한 강화를 실시해야 한다. 

학습자들이 학습하는 기간에는 칭찬, 용기, 격려 등의 말을 자주 해 줌으로써 성취동기를 높여준다. 

학습자 과제의 수준에 맞게 강화의 강도와 유형을 다양하게 해주어야 한다.

 

 

 


알버트 엘리스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행동주의 

 

알버트 엘리스가 창시한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는 불안, 우울, 분노, 죄책감 등 심리적 문제를 야기시키는 비합리적 사고를 변화시키기 위해 인지적 재구조화를 사용하는 치료법이다. 

 

1) 합리적 정서이론 

흔히 심리적 문제 앞에 선행된 사건을 원인으로 보기 쉬우나, REBT에서는 우리가 경험하게 되는 사건에 대한 지각이나 해석에 의해 좌우된다고 본다. 기본적으로 사고, 감정, 행동은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보며, 인지와 정서를 통합적으로 보았다. 따라서 성격 변화는 마음과 행동 양방향에서 일어나며, 치료자는 사람들과 대화를 통하여 그들 마음이 변화해서 다르게 행동하도록 하거나 내담자들의 행동을 변화시켜서 그들의 사고를 바꿀 수 있도록 돕는다. 

 

2) 심리적 문제의 발생과 치료 

우리가 어떤 문제에 부딪히거나 외부 자극을 경험할 때 매우 빠르게 또는 자동적으로 우리 내부의 비합리적 신념이 정서와 행동에 영향을 미쳐 그에 대한 반응을 야기한다. 비합리적 신념은 심층적이고 핵심적인 신념이기 때문에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다. 개인이 겪는 심리적 문제들(우울, 불안, 분노 등)은 절대적 사고, 과잉일반화, 과장된 사고와 같은 잘못된 귀인과 논리적 오류에서 기인되는 비합리적 신념 때문에 발생하고 지속된다. 

 

'나는 잘해서 반드시 인정을 받아야 한다' 

'다른 사람이 나에게 잘해야만 한다'

'세상 일이 모두 좋게만 돌아가야 하고 원할 때 원하는 대로 일이 진행되어야만 한다'

 

REBT를 통한 인지치료 

더 적극적이고, 더 지시적이며, 더 빨리 그리고 더 강력하게 내담자의 불합리한 신념을 논박

건강한 부정적 감정(슬픔과 좌절)과 건강하지 못한 부정적 감정(우울과 적대감)을 명확히 구별 

무시하는 수치심-공격 연습, 합리적 정서적 심사 및 강한 자기진술과 자기대화 같은 여러가지 정서유발적인 방법 강조 

강화뿐 아니라 처벌도 자주 사용